DU인재법학부 김현태 학생 경찰 합격 수기
20년 2차 경찰 시험 합격 수기
수험정보
응시횟수: 2회
준비기간: 2019.11~2020.9 (11개월)
요즘 경찰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이 많아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경찰 시험을 어떻게 준비하는지 궁금하실 점들을 토대로 합격 수기를 써보게 되었습니다.
◎하루 생활 패턴
저는 공부할 때 항상 6시 15분에 일어나는 습관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세수와 양치만 간단하게 한 뒤 처음에는 아파트 독서실에서 공부하였습니다. 이후에 코로나 19가 터진 후 법학과 지정 독서실에서 공부하였습니다. 정신을 못 차렸을 때 일어나서 얼른 나가는게 의지가 약한 저에게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새벽 6시반부터 공부를 시작하였고 보통 밤10시반에 끝냈습니다. 순공 시간은 보통 12시간정도 나왔습니다. 점심시간, 저녁시간은 한 시간씩 가졌습니다. 점심시간에 밥을 먹으면서 강의도 들어보고, 문제도 풀었지만 효율이 떨어진다고 생각해서 밥을 먹고 쪽잠을 자거나 편하게 쉬었습니다. 저는 하루에 5과목을 다 공부를 하였습니다. 아침에는 영어와 한국사 오후에는 경찰학개론과형사소송법 저녁에는 형법을 공부하였습니다. 공부가 다 끝나면 헬스장에서 30분동안 운동을 하고 11시10분쯤 집에 귀가 하였습니다. 잠은 보통 12시에 누워서 12시반에 잠들었습니다. 일주일에 하루는 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요일을 정해 놓지는 않고 집중이 안 되는 날 쉬었습니다. 공무원 공부를 처음 시작하면 생활 패턴을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에 습관을 잘 들여야 나중에 공부를 하거나 일어나는 것이 익숙해집니다.
◎공부법
먼저 공부를 시작 하였을 때 모든 과목 인강으로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보통 학원 커리큘럼이 기본2달-심화2달-기출2달-모의고사2달 정도로 구성이 됩니다. 큰 틀을 대략적으로 알고 계시면 공부를 시작 하기전에 계획을 세우시는데 용이 할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대다수의 학우분들은 나중에 개편 후 경찰 시험을 칠 것이기 때문에 한국사와 영어는 생략하겠습니다!
형법과 형소법은 학교를 다니면서 다들 한 번정도는 들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 경찰 공무원 시험에서 형법은 더 어렵고 방대합니다. 형법과 형소법은 보통 학설문제, 법조문 문제, 판례문제, 사례형 문제가 대부분입니다. 시험장에 가면 아무리 늦어도 형법, 형소법은 각각 20분안에 풀어야 하기 때문에 보자마자 답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본서와 기출 문제집을 정말 많이 보셔야 합니다. 저는 기출문제집과 기본서를 보통 10일마다 반복해서 보았습니다. 같은 문제집을 계속 반복해서 회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같은 문제집을 회독하는 것이 이해가 안 가실 수도 있지만 같은 문제를 풀어도 틀리는 문제는 계속 나옵니다. 책이 두껍기 때문에 한 책이라도 완전하게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력 시험 준비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뭐라 해도 체력입니다. 체력 점수가 높아야 이후에 치루는 면접시험 역시 부담 없이 임할 수 있습니다. 보통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에 체력학원에 가서 운동을 합니다. 하지만 기간이 적으면 7일 많으면 20일 정도이기에 점수를 올리는 데 한계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하루에 30분이라도 운동을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아파트 헬스장에 가서 런닝머신 빠른 속도로 1KM 뛴 후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철봉 매달리기(악력 운동) 등을 하였습니다. 단기 합격을 하시려면 체력은 꼭 같이 미리미리 준비해 주셔야 합니다!
◎면접시험 준비 (필기 합격 후 학원을 등록하고 체력 끝나고부터 준비 합니다)
①면접도 열심히 공부 하셔야 합니다.
저는 스스로 열심히 하기 위하여 조장을 맡았습니다. 저희 조는 다른 조들보다 압도적으로 공부 시간이 많았습니다.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10시부터 오후6시 까지는 집단면접, 개별 면접을 두 번씩 하고 함께 집단 토의 주제를 골라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저녁밥을 먹고 난 후에는 따로 각자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면접에서 공부가 필요한 이유는 본인의 지식에 따라서 답변의 질이 분명 달라집니다. 특히 집단 토의의 경우 본인이 주제에 대하여 무지 하다면 심적으로도 움츠려 들고 점수도 잘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면접역시 필기시험을 준비 하실 때처럼 공부를 많이 하시고 말 하는 연습도 계속 하셔야 합니다.
②목소리가 정말 중요합니다.
목소리, 크기 뿐 아니라 톤, 말의 속도 모든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팀매칭 당시 저는 항상 말이 빨라서 속도를 천천히 하기 위하여 속으로 생각을 하며 계속 연습을 하였습니다. 또한 신뢰감 주는 목소리를 내고 싶어서 배에 힘을 주고 조원들에게 어떤 목소리가 괜찮냐고 계속 물으면서 저의 목소리를 찾기 위하여 노력했습니다.
③팀매칭은 정말 도움이 많이 됩니다.
학원에서 팀매칭을 잡아주는데 팀매칭이 끝나면 오후에 저희 조는 다른 조 한 팀과 더 팀매칭을 할 정도로 팀매칭은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분들이 저의 면접을 봐주시기 때문에 제가 알지 못하는 장점, 단점들을 잘 찾아주십니다. 또한 모르는 분들이기에 더욱 저를 더 객관적으로 봐주실 수 있습니다. 이런 팀매칭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셔야 합니다.
④자신의 경험 찾기
본인의 경험은 면접장에서 무기라고 생각합니다. 책에 있는 모든 경험들을 하나 씩 다 찾았습니다. 경험들을 찾기 위하여 생활기록부도 보고 가만히 앉아서 생각도 많이 하였습니다. 다른 사람의 경험을 쓰는 것보다 본인의 진짜 경험을 쓰는 것이 꼬리질문이나 이후 질문에 대응하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버스를 타고 학원에 오면서 항상 경험을 찾기 위하여 노력했습니다.
◎ 시험 전에 하면 좋은 것들
시험 공부를 하기에 앞서 가산점 5점을 미리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공부 시작 후 가산점을 따려고 하면 계획들이 흐트러질 수 있습니다. 보통 가산점은 대부분 학생들이 실용글쓰기, 무도, 토익등으로 맞춥니다. 저 역시 토익800점과 실용 글쓰기로637점으로 가산점을 만들었습니다. 내년 개편 시험에서는 토익점수와 한국사 능력검정 시험 역시 먼저 준비를 해 놓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기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마음먹으면 다들 금방 하리라 생각 됩니다.